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금융 용어 쉽게 이해하기 (이자, 복리, 기준금리)

by 돈이 되는 꿀정보 2025. 6. 28.
반응형

금융 용어 이자 복리 기준금리

 

금융은 우리 일상과 밀접하지만,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는 바로 ‘용어’ 때문입니다. 이자, 복리, 기준금리처럼 자주 들리지만 정확히 모르고 넘어가는 개념이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가장 기본적이지만 중요한 금융 용어 3가지를 쉽게 풀어 설명합니다.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사례와 함께 설명하니, 금융 기초를 다지고 싶은 분들께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자: 돈의 가격, 빌려주고 받는 대가

이자는 돈을 빌려줬을 때 받는 보상, 또는 빌렸을 때 내는 비용입니다. 즉, 돈의 '사용료'입니다.

이자의 기본 용어들:

  • 원금: 이자를 계산할 기준이 되는 돈
  • 이율(금리): 이자가 붙는 비율, 보통 연 단위(%)로 표시
  • 단리: 매번 같은 원금에만 이자 계산
  • 복리: 이자에 또 이자가 붙는 구조

이자 계산 예시:
100만 원을 연 5% 단리로 3년 예금하면?
→ 100만 × 0.05 × 3 = 15만 원 (총 115만 원 수령)

이자는 단순해 보여도, 고금리 시대에는 대출과 예금에서 큰 차이를 만듭니다.

예) 3억 원 대출 시 연 4% → 연이자 1,200만 원
연 6% → 1,800만 원 (600만 원 차이)

복리: 시간이 만든 이자의 마법

복리(Compound Interest)는 ‘이자에 이자가 붙는 구조’입니다.

복리 공식: 최종금액 = 원금 × (1 + 이자율)ⁿ

복리 예시:
100만 원을 연 5% 복리로 10년 → 약 162만 원
단리일 경우 → 150만 원

20년 후 비교:
복리 → 약 265만 원
단리 → 200만 원 (65만 원 차이)

복리 효과 핵심:

  • 빨리 시작할수록 유리
  • 이자 재투자 시 효과 증폭
  • 중도 인출 없이 장기 유지

주의: 빚도 복리로 불어날 수 있음 (예: 리볼빙, 연체이자)

기준금리: 모든 금리의 시작점

기준금리(Base Rate)는 한국은행이 정하는 '기준 금리'로, 은행의 예금·대출 금리의 출발점입니다.

기준금리 인상 시:

  • 대출 이자 증가 → 소비 감소
  • 예금 이자 증가 → 저축 증가

기준금리 인하 시:

  • 대출 이자 감소 → 소비 확대
  • 예금 이자 감소 → 투자 유도

예: 기준금리 0.5% → 3.5% 상승 시
예금 금리 1% → 4%
대출 금리 2.5% → 6~7%

2024년 현재 기준금리는 3.50%

결론: 개념만 알아도 금융이 쉬워진다

이자, 복리, 기준금리는 금융의 알파벳 같은 존재입니다. 이 3가지 용어만 정확히 이해해도, 대출과 저축, 투자 상품을 비교할 수 있고, 나의 자산 흐름을 논리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금융은 숫자가 아닌 ‘기본 개념’에서 출발합니다. 지금 바로 한 가지라도 정확히 이해해보세요. 금융이 쉬워지기 시작합니다.

반응형